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클래스 패스
- JSP
- 재귀호출기본
- 객체지향
- 현대암호
- BufferedWrite
- jvm
- bubble-sort
- 백준 알고리즘
- HTML
- lang package
- try&catch
- LANG
- java
- 백준
- 디렉티브
- 프로그래밍
- 소수판정
- 자료구조
- 암호론
- 자동 형변환
- 2884
- 공개키 암호
- class
- 연결된 예외
- 알고리즘
- 객체
- 형변환 연산자
- OOP
- 예외처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1)
코드일기장

제목: 덩치 실버5 문제 우리는 사람의 덩치를 키와 몸무게, 이 두 개의 값으로 표현하여 그 등수를 매겨보려고 한다.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x, y)로 표시된다. 두 사람 A 와 B의 덩치가 각각 (x, y), (p, q)라고 할 때 x > p 그리고 y > q 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더 크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A,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56, 177), (45, 165) 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45, 181), (55, 173)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다 더 무겁고, 키는 C가 더 크므..

Date와 Calendar만으로 날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출력하는 것은 불편하다. 그런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만들어진 것이 SimpleDateFormat이다. - 날짜와 시간을 다양한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게 해 준다.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Date; public class Decimal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Date today = new Date(); SimpleDateFormat sdf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System.out.println(sdf.format(today)); } } 2022-03-06 기호 의미..

java.text 패키지의 DecimalFormat, SimpleDateFormat - 숫자와 날짜를 원하는 형식으로 쉽게 출력이 가능하다. (숫자, 날짜 -> 형식 문자열) import java.text.DecimalFormat; double number = 1234567.89; DecimalFormat df = new DecimalFormat("#.#E0"); String str = df.format(number); //str="1.2E6" DecimalFormat 클래스의 format 메서드를 이용하면 숫자형이 문자열로 바뀔 수 있다. 이 반대도 가능하다. - 형식 문자열에서 숫자와 날짜를 뽑아내는 기능(형식 문자열->숫자, 날짜) DecimalFormat df2 = new DecimalFormat..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소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유명하다. "소수가 되는 수의 배수를 지우면 남은 건 소수가 된다는 알고리즘이다." 2부터 소수를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모든 수를 나열한다. 소수가 되는 수의 배수를 지우면 남은 건 소수이다. 2로 예를 들면 자기 자신을 제외한 2의 배수를 지운다. 3도 2처럼 3 자기 자신을 제외한 3의 배수들을 지운다. 특정 숫자만큼 이 과정을 반복한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소수 찾기를 다시 간단히 정리해서 설명하면 i=2 일 때, 2를 제외한 2의 배수는 모두 2로 나뉘니 소수가 아니다. import java.io.*; public class PrimeNumb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다형성(polymorphism)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능력 조상 타입 참조 변수로 자손 타입 객체를 다루는 것 Parent p = new Parent(); //타입일치 Child c = new Child(); //타입일치 Parent p2 = new Child(); //타입불일치 위 3행 코드처럼 조상 타입 참조 변수로 자손 타입 객체를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Child는 Parent에게 상속받았다.) class MainClas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p = new Parent(); //타입일치 Child c = new Child(); //타입일치 Parent p2 = new Child(); //타입불일치 } } cla..

JAVA의 정석 기초편 예제들 package weon; import java.util.Calendar; public class lang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nal String[] dayOf= {" ","일","월","화","수","목","금","토"}; Calendar cal1 = Calendar.getInstance(); Calendar cal2 = Calendar.getInstance(); cal1.clear(); cal1.set(2022,0,1); System.out.println("cal1은"+toString(cal1)+ ""+dayOf[cal1.get(Calendar.DAY_OF_WEEK)]+"요일입니다."); System.ou..

제목: 그룹 단어 체커 실버5 문제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이지만, aabbbccb는 b가 떨어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가 아니다. 단어 N개를 입력으로 받아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단어의 개수 N이 들어온다. N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단어가 들어온다. 단어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되어있고 중복되지 않으며, 길이는 최대 100이다. 출력 첫째 줄에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3 happy..